전체 글52 교육공학의 정의, 기능과 역할, 시사점: 미국교육공학회 1. 미국교육공학회 관점에서 본 교육공학의 정의미국교육공학회(AECT,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는 교육공학을 "학습을 개선하고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술적 프로세스와 자원을 설계, 개발, 활용, 관리 및 평가하는 학문"으로 정의합니다. 이는 단순히 기술을 사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습 이론과 시스템 접근을 결합하여 교육의 전반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이 정의는 교육공학을 단순히 도구 중심의 학문으로 보지 않고, 과학적 접근과 체계적 설계를 통해 교육 문제를 해결하려는 학제 간 접근으로 이해합니다. 여기서 '기술'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학습 경험을 창출하는 방법론을 포함합니다. 이는.. 2025. 1. 12. TPACK 이론의 기본 개념, 이론의 활용, 시사점 1. TPACK의 기본 개념TPACK 이론은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기술-교수법-내용 지식)**의 약자로, 교사가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기술, 교수법, 그리고 내용 지식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해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이 이론은 Punya Mishra와 Matthew J. Koehler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기존의 교수법에 기술 통합을 강조하는 교육적 틀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TPACK은 세 가지 지식 영역 간의 상호작용과 통합을 강조합니다.Content Knowledge (CK):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 지식입니다. 예를 들어, 수학, 과학, 역사 등의 교과 내용을 깊이 이해하는 것을 말합니다.Pedagogical Knowledge (PK):.. 2025. 1. 12. Richey와 Klein의 설계 개발 연구론의 소개, 개념과 중요성, 활용 1. 설계 개발 연구론의 소개 Richey와 Klein의 설계 개발 연구론(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은 교수설계 및 교육공학 분야에서 설계와 개발 과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이를 통해 실질적인 결과물을 창출하는 데 초점을 맞춘 연구 접근법입니다. 이 연구론은 전통적인 학문적 연구와는 달리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설계와 개발의 과정을 탐구하고, 이를 최적화하기 위한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이 접근법은 주로 교육 자료, 프로그램,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활용됩니다. 특히, Richey와 Klein은 설계 개발 연구를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합니다:제품 및 도구 개발 중심 연구(P.. 2025. 1. 12. DigCompEdu 소개, 개념과 이점 그리고 활용 1. DigCompEdu 소개 DigCompEdu는 "Digital Competence Framework for Educators", 즉 교육자를 위한 디지털 역량 프레임워크로, 유럽연합(EU)이 2017년에 발표한 교육 프레임워크입니다. 디지털 시대에 교사가 학습 환경에서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며, 디지털 기술과 교수법의 통합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이 프레임워크는 교육자들이 디지털 도구와 자원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에게 더 나은 교육 경험을 제공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교사들이 단순히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넘어, 교육적 목적과 학습자 중심의 접근법에 초점을 맞춘 디지털 활용 능력을 개발하도록 돕습니다.DigCompEdu는 유럽을 .. 2025. 1. 12. 이전 1 ··· 6 7 8 9 다음